처음에는 막막했습니다.
RAM은 뭐지?
CPU는 또 뭐지?
아 모르겠다.
하지만 대한민국에서 모르면 당하는 세상 친구, 오픈 채팅, 인터넷을 총동원
하여 오로지 나를 위한 본체를 만들기위해 찾아봤습니다.
1 | 조립컴을 스스로 찾고 골라야하는 이유 |
2 | 찾기 전 알아야 할 것 |
3 | 조립컴에 들어가는 부품 이해 |
4 | 중앙처리장치(CPU) |
5 | 쿨러/튜닝 |
6 | 메인보드 |
7 | 메모리(RAM) |
8 | 그래픽카드(GPU) |
9 | SSD |
10 | 하드디스크(HDD) |
11 | 외장SSD/HDD |
12 | 케이스 |
13 | 파워 |
14 | 키보드 |
15 | 마우스 |
16 | ODD |
17 | 사운드 |
18 | 스피커 |
19 | 모니터 |
20 | 소프트웨어 |
+ | 기타 |
1. 조립컴퓨터를 스스로 찾고 골라야하는 이유
왜냐, 공부를 하지 않으면 당하는 세상 모두가 알았으면 마음입니다.
조립컴에 들어가는 부품 이해
조립컴의 기본이며 부품들의 매물, 종류가 많아
이 다나와 PC견적 사이트에서 찾아보는것을 추천합니다.
PC견적 : 샵다나와
나만의 PC를 구성하고 견적비교, 조립까지 한번에 구매하세요.
shop.danawa.com
CPU
쿨러/튜닝
메인보드
메모리
그래픽카드
SSD
하드디스크
외장 HDD/SSD
케이스
파워
키보드
마우스
ODD
사운드/스피커
모니터
소프트웨어
이렇게 많은 목록들이 있습니다.
하지만 이것들의 정의와 용도를 알아야 조립 본체를 맞출 수 있습니다.
개인적으로 중고 컴퓨터 구매는 비추천합니다.
또한 동네 매장에서는 컴맹들을 낚기 위한 작업들도 많을 겁니다.
그나마 인터넷으로 구매하는 게 가장 투명하다고 생각합니다.
구매를 하기 위해 기본적인 질문입니다.
우선 본인의 사용 범위와 용도를 확인해야 합니다.
게임, 작업, 사무 등등 어떤 분야에 사용하는가?
자본금은 얼마나 되는가?
얼마 정도의 가격을 선정하여 본체를 살 것인가?
모니터와 본체가 위치할 자리는 얼마 정도 되는가?
몇 개월, 몇 년 동안 쓸 것인가?
하루에 몇 시간 정도 사용하는가?
만약 A라는 손님이 어떤 매장에서 포토샵을 하기 위한
본체를 사려고 하는데 직원이 100만 원이라고 합니다.
하지만 포토샵만 하는 작업을 위한 컴퓨터는 80만 원 정도면 충분합니다. 손님은 100만 원을 결제하고
포토샵으로 작업을 하는데 아무 문제없이 돌아가니까 잘 사용하고 컴퓨터 좋다!라고 할 겁니다.
자신에 맞는 금액이 있고 어차피 살 거 비싸면 좋겠지 라고 생각합니다.
하지만 적정 가격이 있고 그 이상을 넘어가면 의미 없는 투자가 됩니다.
예를 들자면 화장실 슬리퍼를 백만 원짜리를 구매하실 건가요?
물론 구매를 할 수도 있지만, 대부분 화장실 슬리퍼는 미끄러지지 않고 내구성이 괜찮은 정도면 됩니다.
정작 다이소에서 판매하는 슬리퍼를 구매해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.
보다 쉬운 이해를 위해 극단적으로 비유를 했지만
위 컴퓨터의 견적 문의도 이와 비슷하다고 보면 됩니다.
본인이 게임을 하면
Home - UserBenchmark
www.userbenchmark.com
유저 벤치마크라는 사이트에서 게임 스펙이 몇 프레임 정도 나오는지 확인이 가능합니다.
앞으로 글을 추가적으로 쓸 예정이니 지켜봐 주시길 바랍니다!
'IT 인터넷 가이드북 > 하드웨어 : Hardwar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캐논 3010시리즈 잉크 안나올 때 해결방법 (0) | 2023.02.13 |
---|---|
2022년 03월 긱벤치 제외 기기 리스트 (0) | 2022.03.10 |
키압낮은, 높이 낮은 키보드는 손목통증에 도움이 된다. (0) | 2021.03.10 |
SD카드 EVO, EVO Plus 차이 (0) | 2021.03.04 |
중고 핸드폰 사기 안당하고 사는법 (1) | 2020.04.18 |
댓글